무료룰렛게임공지사항
[공지] 한국언론무료룰렛게임 <방송통신 융합 환경에서 지역 공익성 구현 방안 특별 세미나 개최 안내
관리자 | 2016. 02. 16
1. 회원님들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한국언론무료룰렛게임는 오는 2016년 2월 22일 (월) <방송통신 융합 환경에서 지역 공익성 구현 방안 세미나를 <다 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회원님들의 많은 관심과 참석 부탁드립니다.
<다 음
1) 기획의도
최근 방송통신 융합 환경이 본격화되고, 방송 시장을 통한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이 강조되면서 지역 공익성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라는 문제가 새삼 지역 현안으로 급격하게 부상하고 있다. 시장 경쟁이 중시되는 상황에서는 대중성과 보편성, 그리고 상업성의 요인이 더욱 중요해지고, 그 결과 지역 콘텐츠 시장에서 지역성 구현은 더욱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 지역 방송계의 주요 쟁점이다. 지역 콘텐츠 생산을 담당하고 있는 지역 지상파 방송사와 지역 케이블 방송사들 역시 현재의 여건으로는 향후 지역 콘텐츠 생산 기반의 생존조차 불가능하게 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하지만, 외부 환경의 변화 외에 지역 내부의 문제도 분명히 존재한다. 지역 콘텐츠 시장의 환경에 변화를 가져올 필요성이나 열망은 있지만, 과연 어떻게 변화하는 것이 지역 시청자의 편익과 지역 콘텐츠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지에 대한 지역 내부의 논의는 여전히 최선의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본 세미나에서는 지역을 기반으로 한 공익적 명제인 “지역민의 편익 도모를 기반으로 한 지역성 구현”을 실현하면서 “지역 콘텐츠 시장에 대한 투자 활성화와 이를 통한 지역의 콘텐츠 제작 관련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기여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 과연 가능한지, 만약 가능하다면 공익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도모하기 위해 어떠한 정책 방향과 구체적인 정책 대안이 필요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정책 수립과 실현을 어렵게 만드는 현실적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은 없는지를 종합적으로 논의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주제를 다루기 위해 지역의 미디어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법-제도적, 현실적 효과 차원에서의 문제점과 그에 따른 정책적 해결 및 보완 방안들을 보다 다양하고 종합적인 차원에서 모색하기 위한 논의의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방송통신융합 환경에서 지역 미디어 발전의 지향점을 제시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적 대안 모색을 공론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세미나 개요
-주제 : 방송통신 융합 환경에서 지역 공익성 구현 방안
-일시 : 2016년 2월 22일 (월) 14:00 ~ 18:00
-장소 :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
-주최 : 한국언론무료룰렛게임
3) 행사 세부 진행 계획
[14:00 ~ 14:10]
-진행 : 남인용 (한국언론무료룰렛게임 총무이사/부경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개회사 : 조성겸 (한국언론무료룰렛게임 회장/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14:10 ~ 15:10] 발표 1
-사회 : 장낙인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상임위원)
-주제 : 지역 공익성 구현을 위한 방송사업자 역할과 정책적 방안
-발표 : 윤석년 (광주대신문방송학과 교수)
-토론 : 김신동 (한림대언론정보학부 교수)
송종현 (선문대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15:10 ~ 15:25] 휴식
[15:25 ~ 16:25] 발표 2
-사회 : 조성호 (경북대신문방송학과 교수)
-주제 : 디지털 환경에서 지역 저널리즘 공익성 구현 방안 고찰
-발표 : 구교태 (계명대신문방송학과 교수)
-토론 : 최낙진 (제주대언론홍보학과 교수)
주정민 (전남대신문방송학과 교수)
[16:25 ~ 16:40] 휴식
[16:40 ~ 17:40] 발표 3
-사회 : 조성겸(한국언론무료룰렛게임 회장/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주제 : 방송통신 융합 환경 시대, 지역 지상파 방송 어디로 가야하나?
-발표 : 김영수 (KNN 경영사업본부 차장) , 최진호(한양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박사과정)
-토론 : 권장원 (대구가톨릭대언론광고학부 교수)
최용준 (전북대 신문방송학과교수)
[17:40 ~ 17:50] 폐회
4) 문의
- 한국언론무료룰렛게임 사무국(02-762-6833, 02-723-8350/ office@comm.or.kr)